다문화채널 홍성욱 기자 | KB국민은행(은행장 이재근)은 지난 16일 캄보디아 중앙은행(National Bank of Cambodia)과 QR코드 기반 지급결제시스템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한국∙캄보디아 경제협력포럼에서 개최된 주요 행사 중 하나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훈마넷 캄보디아 총리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KB국민은행은 이번 협약을 통해 금융 부문에서 캄보디아 중앙은행과의 상호협력을 강화하고, 양국의 지급결제시장 확대에 기여할 계획이다. 또한, 캄보디아 자회사인 KB프라삭은행을 통해 지급결제시스템 구축과 관련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한국·캄보디아 양국간 QR코드 기반 지급결제시스템 구축으로 별도 환전없이 자국의 모바일뱅킹 플랫폼을 이용한 결제가 가능해져 두 나라를 찾는 관광객과 근로자들의 편의가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KB국민은행의 캄보디아 자회사인 KB프라삭은행이 지급결제시스템 구축 및 운영과 관련해 지급결제자금 정산을 위한 결제은행(Settlement Bank) 등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고 말했다. KB국민은행은 2009년에 ‘KB캄보디아은행’
다문화채널 홍성욱 기자 | 정선용 충북도 행정부지사를 단장으로 하는 대표단이 16일부터 18일까지 중국 헤이룽장성(하얼빈)을 방문한다. 이번 방문은 충청북도와 자매결연 지역인 헤이룽장성 정부의 초청에 따른 것으로, 하얼빈국제경제무역박람회에 도내 중소기업 10개 사가 참가하여 수출상담을 진행할 예정이다. 대표단은 방문 동안 현지 정부 관계자와의 교류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청주-하얼빈 정기노선 운항에 맞춰 관광 홍보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이번 방문을 통해 충북도와 헤이룽장성 간의 우의 강화와 충북 상품의 현지 진출 확대, 그리고 중국 유학생 유치 등에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다문화채널 홍성욱 기자 | 충청북도(도지사 김영환)는 지난 16일 충북연구원에서 도 관련부서, 도내 대학 국제교류처(원) 및 유관기관이 K-유학생 관련 거버넌스 구축 및 체계적인 유학생 유치 전략 마련을 위한 통합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간담회는 지방대학과 지역 소멸 위기 대응을 위한 K-유학생 제도 및 추진 상황, RIS센터 글로벌 혁신 우수인재 양성사업, 도시농부 연계 유학생 활성화 방안 등 K-유학생 관련 내용을 각 부서에서 설명했습니다. 또한, 청주 출입국‧외국인 사무소에서 임휴빈 과장이 초청되어 사증 발급 신청에 대한 발표를 하고, 대학들이 궁금했던 사항에 대한 답변을 했습니다. 또한, 각 대학 국제교류처(원)장과 실무자 등이 참석하여 대학 현장에서의 유학생 유치 및 관리의 어려움과 그에 따른 개선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도는 K-유학생 유치를 위해 △현행 비자 제도 개선 논의 △유학생 학업 이탈 방지 대책 △장학금‧기숙사 현황 등 K-유학생 유치 과제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날 논의된 내용을 중심으로 K-유학생 1만 명 유치 프로젝트에 도내 대학 및 유관기관과 함께 K-유학생 추진 협의체를 구성‧운영할 예정이다. 충북도 김진형 과학인재 국장은
다문화채널 홍성욱 기자 | 외교부(장관 조태열)가 오는 20일부터 여권정보 진위확인 API를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공개한다. 이 API를 활용하면 여행사 등의 기업은 고객이 제출한 여권번호나 로마자 성명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권정보 진위확인 API는 외교부가 개발해 공개하는 연계 프로그램으로, 여권정보의 진위를 확인할 수 있는 도구이다. 이를 통해 민간기업은 고객이 제출한 여권정보가 실제 여권상의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이 서비스를 통해 여행사가 항공권을 예약하거나 발권할 때 탑승객의 여권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증할 수 있어, 국민들의 불편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 서비스는 하반기에는 인천공항공사의 온라인 면세점 앱에서도 적용될 예정이며, 이를 통해 면세품 구매 과정이 더욱 간편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윤주석 외교부 영사안전국장은 "이번 서비스 공개로 온라인에서 여권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앞으로도 관련 업계 및 기관과 협력하여 국민 편익을 증진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이 API의 사용을 원하는 기업은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신청 후 외교부의 승인을 받아 사용할 수 있다.
다문화채널 홍성욱 기자 | 제2차 한-태국 사이버안보대화가 지난 16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이동렬 국제안보대사와 쏘랏 쑥타원 태국 외교부 대사를 수석대표로 열렸다. 이번 대화에는 양국의 외교부, 국정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검찰청, 경찰청뿐만 아니라 태국 외교부, 국가사이버안보청(NCSA), 국가안보위원회(NSC) 등 사이버안보를 담당하는 다양한 관련 기관이 참석했다. 주요 논의는 사이버안보 정책과 전략, 양·다자간 협력, 역량 강화, 사이버범죄 수사 공조 방안 등이었다. 특히, 양국은 유엔과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등의 다자무대에서의 협력방안을 논의했으며, 우리측은 유엔 안보리에서 사이버안보 이슈를 중점으로 다루기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양국은 또한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양국 정부기관 간 협력을 강화하고 구체적인 협력사업을 모색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사이버안보대화는 '2022-2027 한-태국 공동행동계획'에 따라 개최되었으며, 양국 간의 사이버안보 분야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자 하는 의지를 확인했다.
다문화채널 홍성욱 기자 | 윤석열 대통령과 훈 마넷 캄보디아 총리는 지난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에 관한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양국 정상은 이번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을 기점으로 정치, 국방, 외교, 경제, 금융, 사회, 문화는 물론, 기후변화와 환경 이슈까지 망라한 포괄적인 협력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기로 합의했다. 한편, 이번 훈 마넷 총리의 방한은 2014년 훈센 총리 방한 이후 10년 만에 이뤄진 것이며, 지난해 8월 마넷 총리 취임 이후 이뤄진 첫 한국 방문이다. 윤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양국 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수립하게 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교역,투자 협력을 확대하고, 디지털 환경과 같은 미래 지향적 분야에서의 협력 강화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양국은 1997년 재수교 후 비약적인 관계 발전을 이뤄왔다'며 '양국 간 교역은 20배 증가했고, 인적 교류도 150배 늘었으며 한국은 제2위 투자국이 됐다'고 했다. 마넷 총리는 '캄보디아의 경제성장과 발전은 한국의 기여와 분리할 수 없다'며 '한국과의 굳건한 관계를 소중하게 생각하는 한편, 앞으로 양자적, 다자적 차원에서
다문화채널 홍성욱 기자 | 지난 9~10일까지, 우즈베키스탄 나망간주의 전 군수인 베그조드가 부여(군수 박정현 )를 방문했다. 그는 부여군의 선진 농법 기술을 견학하기 위해 방문했다고 밝혔다. 베그조드 전 군수는 K-부여 굿뜨래 농업국제화&특화단지 조성을 위한 시범단지 구역을 제공했다. 또한, 그는 추스트 군수로 재임할 당시에 부여군의 ㈜글로벌부여군굿뜨래와 총괄 업무협약을 진행하는 등 프로젝트의 핵심 부분을 함께했다. 이번 방문 전, 베그조드 전 군수는 올해 6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될 나망간주 식량작물(벼) 시범단지 조성을 위해 부여군의 육묘 배양 기술과 선진 농법을 직접 견학했다. 박정현 부여군수와의 면담에서, 베그조드 전 군수는 "이번 시범단지가 성공적으로 완수되길 바라며 성과에 따라 점차적으로 재배단지의 규모를 늘리자"고 제안했다. 이에 박정현 부여군수는 "이번 식량작물(벼) 시범단지는 앞으로의 K-부여 굿뜨래 농업국제화&특화단지 조성사업의 중요한 기틀이 될 것이며, 이번 시범 재배가 성공되어 앞으로도 사업을 함께 하기를 바란다"고 답했다. 이번 방문은 나망간주와 부여군 간의 농업 분야 협력을 강화하고, 농업 기술 교류를 촉진하는 중요한
다문화채널 홍성욱 기자 | 김홍균 외교부 1차관 은 지난 14일, 아산정책연구원이 주최한 '아산플래넘 2024' 개회식 축사를 통해 금번 회의 개최를 축하하고, 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한국의 정책을 설명했다. 김 1차관은 지정학적 갈등의 영향이 아시아의 안보에도 미치고 있다고 진단하고, 이에 대처하기 위한 한국의 최우선 전략은 규범기반 국제질서의 수호와 강화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는 한미일, NATO, EU 및 글로벌 사우스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서 사이버안보 등 주요 이슈에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최초의 포괄적 지역전략으로 인태전략을 발표하고, 파트너국들과의 협력을 강화해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중국과의 협력 역시 중요하며, 성숙하고 건강한 관계를 유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1차관은 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서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 핵심이며, 북한 비핵화를 위한 노력과 유엔의 대북 제재 이행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김 1차관은 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이 국제적인 사안이라면서, 아산플래넘 회의가 이를 위한 좋은 논의의 장이 될
다문화채널 홍성욱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는 (재)한국방문의해위원회(이하 방문위), 한국관광공사(사장직무대행 서영충, 이하 공사)와 함께 6월 한 달간 서울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2024 코리아뷰티페스티벌’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고자 케이-뷰티 분야별 체험과 제품·서비스 할인, 기업 간 거래(B2B)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막식은 6월 1일, 서울 광화문광장 세종대왕 동상 앞 특설 무대에서 열린다. 헤어, 메이크업, 패션, 의료·웰니스 등 주제별 거점에서 다양한 체험 행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홍대(헤어·메이크업 특화) △성수(패션 특화) △명동(리워드 이벤트) △광화문(의료·웰니스 특화) 등 서울의 다양한 지역에서 케이-뷰티의 매력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행사 기간 동안 총 320여 개 기업이 참여해 맞춤형 케이-뷰티 제품 할인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항공과 숙박 등 관광업계도 추가 혜택을 제공하여 외국인들의 방문을 유도할 것이다. 유인촌 장관은 “‘2024 코리아뷰티페스티벌’을 외래 관광객 2천만 명 시대를 열어가는 핵심 콘텐츠로 육성해 나가겠다.”라며 “문체부는 ‘한국방문의 해’ 2년 차를 맞이
다문화채널 홍성욱 기자 |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5월 12일~15일까지 공식 방한한 유라이 블라나르 슬로바키아 외교장관과 지난 15일 오전 회담 및 공식 오찬을 갖고, 양국 관계, 경제 협력, 국제무대 협력, 주요 지역 정세 등에 대해 폭넓게 협의했다. 조 장관은 블라나르 장관이 과거 한국 기업이 많이 진출한 질리나 지역의 주지사를 역임한 데 대한 사의를 표하고, 작년 수교 30주년을 계기로 양국 간 활발한 고위급 교류가 이어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블라나르 장관은 양국 간 경제 분야를 중심으로 상생 발전의 협력 관계를 평가하고, 슬로바키아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활동을 지원하는 데 관심을 표하면서 경제 분야에서의 협력이 더욱 확대될 것을 기대했다. 조 장관은 북한의 도발과 위협적인 언사에 대한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슬로바키아를 포함한 국제사회와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블라나르 장관은 슬로바키아도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지지하며 북한의 도발을 강력히 규탄하고 한국 정부의 통일비전과 대북정책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양 장관은 한-비세그라드그룹(V4: 슬로바키아, 폴란드, 체코, 헝가리) 협력, 유엔·NATO 등 국제무대에서의 협력에 대해
다문화채널 홍성욱 기자 | 한국관광공사(사장직무대행 서영충, 이하 공사)는 16일, K푸드를 통한 한국의 매력을 알리기 위해 태국의 미쉐린 스타셰프 '쩨파이(Jay Fai)'를 '2023~2024 한·태 상호방문의 해 홍보대사'로 위촉했다. 쩨파이 셰프는 2018년 자신의 이름을 딴 방콕 길거리 레스토랑이 미쉐린 1스타를 받으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2019년에는 넷플릭스 시리즈 ‘길 위의 셰프들’ 방콕 편에 출연해 전 세계적인 유명세를 탔고 작년에는 농심 신라면의 첫 글로벌 컬래버 제품인 ‘신라면 똠얌’을 태국 현지에 출시한 바 있다. 쩨파이 셰프는 지난 12일부터 한국을 방문해 부산 곰장어, 경주 한정식을 비롯해 곰탕, 두부요리, 달고나 등 다채로운 한국의 맛을 느끼며, K푸드 홍보를 위한 음식관광 콘텐츠를 제작 중에 있다. 향후 공사 방콕지사에서는 해당 콘텐츠를 활용해 SNS로 홍보할 예정이다. 쩨파이 셰프는 “이번 한국 방문을 통해 한국의 고유 음식들을 경험할 수 있어서 인상적이었고, 앞으로 태국인들에게 한국의 다양한 맛을 소개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홍보대사로 위촉된 포부를 밝혔다. 공사 이학주 국제관광본부장은 “2024 해외한류실태조사에 따르면 태국
다문화채널 관리자 기자 | CJ올리브영(이하 올리브영)은 일본 지바현 '마쿠하리 멧세'와 '조조마린 스타디움'에서 지난 10일부터 12일까지 사흘간 열린 세계 최대 규모의 K-POP Fan & Artist Festival 'KCON JAPAN 2024'에서 K뷰티를 알리는 행사 부스를 성황리에 운영했다고 14일 밝혔다. 올리브영 부스는 일본 젊은 소비자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올리브영의 자체 색조 브랜드를 알리고, 일본시장에서 선호할 만한 국내 중소 뷰티 브랜드를 소개하는 콘텐츠로 꾸며졌다. 최근 K팝, K푸드 등 K컬처가 현지 1020세대 사이에서 인기인 점을 고려해, 역대 KCON 올리브영 부스 중 최대인 360㎡(109평) 규모로 조성했다. 'K-뷰티 스트리트(K-BEAUTY STREET)' 콘셉트로 구성된 올리브영 부스에는 색조 브랜드 '웨이크메이크(WAKEMAKE)'와 '컬러그램(colorgram)'의 쇼룸, '올리브영 글로벌몰'의 인기 K뷰티 브랜드를 카테고리별로 진열한 공간, 포토스팟 등이 마련됐다. 올리브영이 제작한 K뷰티 소식지와 쇼퍼백을 받기 위한 대기줄이 수십 미터(m)씩 이어지는가 하면, 소셜미디어 이벤트에 참여하기 위한 관람객들로